반응형
민생지원금(소비쿠폰)은 지역 소상공인 매출 확대가 목적이라서 사용 가능 업종이 정해져 있습니다. 아래 표와 체크리스트를 참고해 손쉽게 확인하세요.
✅ 민생지원금 사용 가능한 곳
- 생활밀접 업종 : 동네마트·슈퍼, 편의점, 전통시장, 정육·과일가게, 베이커리, 반찬가게
- 외식·카페 : 일반 음식점, 분식·치킨·피자, 카페/디저트숍
- 의료·건강 : 병원·의원, 치과, 한의원, 약국, 안경점, 보청기·의료보조기기
- 교육·서비스 : 학원(어학·예체능·보습), 독서실, 미용실·네일, 세탁소, 사진관, 수리·인테리어 소규모 업체
- 문화·여가 : 영화관(지역관 위주), 실내체육시설(피트니스·요가 등), 지역 문화센터, 서점·문구점
- 교통·생활편의 : 택시, 버스·지하철 교통카드 충전(지자체별 상이), 주유소(가맹점 한정), 주차장
- 숙박·여행 : 지역 호텔·모텔·게스트하우스, 소규모 여행사, 펜션·캠핑장
❌ 민생지원금 사용 불가한 곳
- 대형 유통 : 대형마트(이마트·롯데마트·홈플러스 등), 백화점, 아울렛, 면세점, 기업형 슈퍼(SSM)
- 대형 온라인몰 : 쿠팡·G마켓·옥션·11번가·네이버쇼핑 등 대부분 불가 (지자체 제휴 예외가 있으면 해당 공지 우선)
- 사행/유흥 : 카지노·경마·경륜, 유흥주점, 노래방(유흥), 단란주점 등
- 고가·투자성 품목 : 차량·선박, 귀금속·명품 전문점, 유가증권·상품권·기프트카드 구매
- 공공요금/수수료 : 세금·과태료·각종 공공요금 납부, 보험료(일반), 통신요금(직접 납부)
TIP : 같은 업종이라도 ‘가맹 등록 여부’에 따라 결제가 달라질 수 있어요. 결제 전 가맹 스티커를 확인하거나 점원에게 “지역사랑상품권/소비쿠폰 결제 가능하나요?”라고 물어보세요.
민생지원금 사용 방법 (지급 형태별)
- 카드형(신용·체크) : 지원금이 카드 포인트로 충전 → 지역 가맹점에서 일반 결제처럼 사용
- 모바일 상품권 : 지역사랑상품권/제로페이 앱에서 QR·바코드로 결제
- 지류형 : 종이 상품권을 가맹점에 제출하고 잔액은 현장 규정에 따름(일부 잔액 현금불가)
자주 묻는 질문(FAQ)
편의점/주유소에서도 되나요?
대부분 가맹 등록된 점포는 가능합니다. 단, 유류쿠폰·상품권 구매 등 일부 품목은 제한될 수 있어요.
온라인 결제는 완전 불가인가요?
원칙적으로 대형 온라인몰은 불가입니다. 다만 지자체가 운영하는 지역몰·제로페이 연동 온라인 가맹처는 예외적으로 가능할 수 있으니 지역 공지를 확인하세요.
병원·약국 결제는요?
대부분 가능합니다. 다만 비급여 항목/의료소모품 등은 지자체별 제한이 있을 수 있어요.
지역별 차이 확인하는 법
- 지자체 홈페이지 > 지역사랑상품권 안내 페이지
- 상품권/제로페이 앱 > 가맹점 찾기 메뉴에서 업종·거리 필터 적용
- 카드사 앱 >소비쿠폰 안내 > 가맹 가게 지도 확인
반응형